한국전통지리학사특성이미지
한국의 과학과 문명 국문판 제2권

한국 전통 지리학사

2015년 12월 출판 예정 | 오상학(제주대) 지음

목차


제1부 땅의 표현: 지도학

1장 전통지도학의 사회문화사

1. 지도제작의 사회사
2. 전통지도학의 문화사

2장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지도제작

1. 삼국시대의 지도
2. 고려시대의 지도

3장 조선전기의 지도학

1. 세계인식과 세계지도
2. 국토의 경영과 조선전도

4장 조선후기의 지도학

1. 서구식 지도의 도입과 지도제작의 변화
2. 국토인식의 진전과 지도제작의 다양화
3. 전통적 지도학의 완성
4. 근대적 지도학의 도입과 한계

제2부 땅의 기술: 지지학

1장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지지학

1. 삼국시대의 지지
2. 고려시대의 지지

2장 조선전기의 지지학

1. 조선시대 이전의 지지학
2. 조선의 개국과 실용적 지지학
3. 조선성리학의 정착과 가치 추구의 지지학

3장 조선후기의 지지학

1. 지방 중심의 민찬 지지학의 발달
2. 관찬 지지학의 계승
3. 실학의 부흥과 지지학
4. 근대적 지지서의 저술과 한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