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oYZnPrn
한국의 과학과 문명 국문판 제1권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

2015년 11월 30일 | 신동원(전북대) 지음

기획 의도

한국 과학문명사에서 봤을 때 ?동의보감?은 해외 발신이 가장 널리 된 책으로 이에 견줄만한 것이 없다. 1613년 출간된 지 100여년 후에 일본 판본이 나왔고, 또 다시 50여년 후에 중국 첫 판본이 나온 이후 중국에서만 30여 판이 출현했으며 오늘날에도 거듭되고 있다. 19세기말 베트남 출현 의서에서도 ?동의보감?이 인용되고 있다. 가히 ?동의보감?은 세계적인 책이라 불러도 무방하다. 동아시아 전통 과학 분야 중 천문학과 더불어 쌍벽을 이루는 이런 성취는 한국 과학문명의 넓이와 깊이를 아울러 웅변한다.

이뿐만 아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소설과 드라마로 한국인, 더 나아가 한류의 일부로서 그것을 즐긴 세계인에게 ?동의보감?과 저자 허준이 익숙한 존재가 되었으며, 2009년 유네스코에서는 전 세계 의학서적 중 최초로 이 책을 세계기록유산으로 공인했다.

그럼에도 책 알맹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최상급 숭배의 대상이 되지는 않았는지 의심을 품어야 한다. ?동의보감?이 어떤 점 때문에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는지, 또 그런 의서를 탄생시킨 조선의 지적, 학문적, 사회적 역량이 무엇인지 밝힌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이룩한 학계의 결과로는 한국 사람끼리는 서로 자랑스러워하며 고개를 끄덕일 정도는 되지만 민족적인 자긍심을 공유하지 않는 사람들까지 설득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동의보감과 동아시아 의학사>는 한국인을 넘어 중국인이나 일본인, 더 나아가 모든 세계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동의보감?의 성격과 가치를 밝히기 위해 집필되었다. 이 책은 ?동의보감?이 동아시아에서 널리 읽혔던 비밀이 그것이 한국 일국에 갇힌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적 성격을 띠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다음 세 측면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첫째, ?동의보감?은 동아시아 의학 전반을 재료로 하여 구성했다. 둘째, 몸의 양생을 병 치료보다 우선해서 본다는 고대 중국의학 정신의 회복을 내세워 동아시아 의학의 거대한 전통을 일관되게 종합해냈다. 셋째, 거기에 조선에서 발전시켜온 여러 의학 전통을 녹여냈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 –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프롤로그 – 왜 『동의보감』인가

1부 탄생 배경과 과정
1장 조선 개국 이후 의학적, 지적 역량의 성장
2장 조선 개국 이후 사대부 양생 문화의 확산
3장 어의 허준의 등장과 활약
4장 ‘동의보감’ 출현을 둘러싼 사회적 상황
5장 ‘동의보감’의 편찬과 출간

2부 ‘동의보감’ : 동아시아 의학의 전범
6장 금, 원 이후 의학의 혼란 극복이라는 과제
7장 의학 일통의 신형장부의학 기획
8장 동아시아 의학 전범의 확립
9장 동아시아 의학의 종합의 종합

3부 출현 이후
10장 ‘동의보감’과 조선 동의 전통의 전개
11장 중국과 일본에서의 동의보감

결론
에필로그 -『동의보감』, 동아시아 의학, 세계 의학 – 여인석 기고

주석
표 및 도판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